회장 인사말
- Korean
- English
- 인사말
- 학회장 이력

2023 한국경영학회장 김 재 구
회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23년 한국경영학회의 회장을 맡은 김재구입니다.
저는 한국경영학회가 ‘모두를 위한 기회-성장-공헌의 플랫폼'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약속드리면서 회장이 되었습니다. 학회장 선거 시 전국의 경영대학 현실을 보며, 기업을 중심으로 지역혁신생태계를 구축하여 경영학의 새로운 부흥을 일으키기를 원했습니다.
이 시대의 공정한 기회는 지방시대를 열 때만이 가능합니다. 지금 시대가 원하는 정의는 지역에 기반한 혁신생태계를 통해 가능합니다. 그동안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 여러 노력을 하였지만 산업-공간-사람이라는 좋은 프레임 속에서도 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습니다. 혁신의 주체가 되는 기업에 자유를 주고, 자율에 기반한 혁신을 일으키지 못하고서는 지역발전이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저는 2023년 한국경영학회가 ’글로컬 신산업혁신 생태계 구축‘을 통하여 대한민국의 일대혁신을 일으키는 디딤돌을 놓고자 합니다. 경제성장과 활력을 자랑하는 국가나 지역들은 반드시 혁신적인 기업이나 기업가들을 유치하고,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생태계 구축을 위해 기업혁신은 물론, 대학경영혁신과 정부개혁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지역혁신을 이루기 위해 이 3개의 축을 중심으로 과업을 수행하고자 하며, 미력하지만 저의 최선을 다해서 한국경영학회의 회원이신 전국의 경영학자들과 경영인들을 위해서 일하겠습니다.
우선 기업혁신을 위해서는 각 지역의 전략산업 재구축에 대한 정책 논의와 결정이 제2국무회의인 중앙지방협력회의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와 궤를 같이 하여 그동안 한국경영학회가 준비해온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학회원들과 함께 신산업혁신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 실천에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신산업혁신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겠습니다.
대학경영혁신을 위해서는 지역대학을 혁신의 터전으로 만들기 위해 국가교육위원회 그리고 유관 부처와 협력하여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연구개발과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지역 경영대학들이 주도할 수 있도록 경영대학(원)장협의회, 한국경영교육인증원 등과 협력하여 방안을 실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역현장에서 경영대학들이 R&D사업에 참여하며 기술사업화, 창업으로 연결되는 방안을 모색하겠습니다. 이를 위해 대학혁신위원회를 구성하겠습니다.
정부개혁이 어렵다지만,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바로 신산업을 만들 때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이 규제이기 때문입니다. 이 규제가 현재 부처 단위로 되어 있어 통합이 어렵고 기업의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신산업을 이끌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만들고, 전문인력의 양성과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새 비즈니스 모델들이 나타나고, 자본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개혁이 절실합니다. 이를 위해 정부경영위원회를 발족시켜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들의 혁신을 견인하고 지원하겠습니다.
지역 지회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과 산업에 필요한 기회를 발굴하고 이끌도록 하고, 지역 경영대학들이 실제 기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도록 지역형 산업혁신생태계 포럼을 만들겠습니다. 정부 그리고 기업, 경제단체가 각 지역포럼에 참여하고 활동하도록 돕는 가교 역할을 한국경영학회가 수행하겠습니다.
이러한 의제들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먼저 2023년 한국경영학회의 첫 번째 행사로 3월 21일 최근 화두가 있는 ChatGPT에 대한 글로벌 포럼을 개최하여 디지털 전환에 따라 교육과 기업서비스 등에 대한 산학연정의 과제를 다루려 합니다.
5월 15일에 한국경제학회, 한국사회학회, 한국정치학회그리고 한국행정학회까지 함께 5대학회 통합학술대회을 개최하여 ‘2023 한국사회의 과제와 전망’을 주제로 5대학회의 학자들이 우리나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2023년 한국경영학회의 융합학술대회는 8월 16-18일에 부산에서 개최합니다. 학술대회의 주제는 ‘Korea Glocal Grand Innovation’으로 정하고, 글로컬 혁신을 위한 지역생태계 구축에 대한 한국경영학회의 제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첫째날은 신산업혁신EXPO로서 부산을 필두로 한 지역전략산업의 재구축에 대하여 다루면서 산학연정의 역할에 대해 제안할 것입니다. 둘째날은 Global Academic EXPO로 구성하여 Apple University의 총장이었던 Joel Podolny를 주제강연자로 모셔서 기업의 수요에 따른 교육혁신과 대학경영에 대해 글로벌 석학들과 논의하고자 합니다. 셋째날은 신기업가정신 EXPO로서 5대 대기업집단 등을 비롯하여 기업들의 전시 및 발표, 그리고 청년학생들의 참여 속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2023년의 부산 융합대회는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맞아 더욱 풍성하게 준비하여 모든 회원들이 함께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어 제가 가장 중요하게 해야 하는 일은 한국경영학회의 회원이신 경영학자들과 경영인들의 협력과 도움을 얻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경영학회의 주인은 회원 여러분임을 명심하고, 모든 회원께서 중심이 되는 학회, 회원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한국경영학회가 될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바치겠습니다. 회원님들의 지혜와 역량을 모아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글로컬 신산업혁신생태계를 구축하는 대전환을 이끌어 가는 한국경영학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년 3월
제68기 한국경영학회장 김재구 드림
- Korean
- English
- President's greeting

Kim, Jae-Gu,
President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 2023
Honored Members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KASBA).
I promised to do my best to make the KASBA a "platform for opportunities, growth, and contribution for everyone".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for the position of the President, I could observe the reality of business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d I wanted to create the 'companies-led regional innovation ecosystem' to bring about a new reviv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studies,
Fair opportunities in this era are only possible when the era of local autonomy begins. The justice desired by this era can be achieved through an innovative ecosystem based on regions. Although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achiev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 understanding of companies has been lacking even in the good frame of industry, space, and people. Unless freedom is given to companies that become the agents of innovation and innovation based on autonomy is created, regional development cannot take place.
In 2023, I want the KASBA to be the cornerstone of innovation in Korea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glocal new industry innovation ecosystem". Countries or regions with economic growth and vitality must attract innovative companies or entrepreneurs and have an ecosystem for growth. To create such an innovative ecosystem, corporate innovation as well as university management innovation and government reform must be achieved together. To achieve regional innovation, I will perform tasks centered on these three axes to the best of my ability and work for the members of the KASBA who are management professionals and scholars across the country.
First of all, to achieve corporate innovation, policy discussions and decisions on the reconstruction of each region's strategic industry are underway 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Council, which is 'the second Cabinet Council'. In line with this, based on the contents that the KASBA has been preparing, I will research and put into practice new industry innovation strategies together with the members of the KASBA. For this, I will establish and operate a new industry innovation committee.
To achieve university management innovation, I will cooperate with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and relevant ministries to con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educatio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o make local universities a place of innovation. I will work in close collaboration with the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Schools and Graduate Schools as well as the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KABEA) to implement plans that will allow regional business schools to take the lead. I will explore ways for business schools to participate in R&D projects and to connect them to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startups at the local level. For this, I will establish a university innovation committee.
Government reform is said to be difficult, but the reason it is necessary is precisely because regulation must be considered first when creating new industries. Current regulations are fragmented by ministry, making integration difficult and preventing them from solving business problems. Government reform is urgently needed to create testbeds that can lead new industries, to foster and supply specialized personnel, to bring about new business models, and to activate the capital market. To this end, the KASBA will launch a government management committee to drive and support innovation in bo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e will create a regional industry innovation ecosystem forum to discover and lead opportunities needed for local regions and industries, and to demonstrate that local business schools can help actual businesses. The KASBA will perform the bridging role to assist the government, companies, and economic organizations in participating and operating in each regional forum.
We are preparing various activities to accomplish these goals. First, on March 21, 2023, as the first event of the KASBA, we will hold a global forum on ChatGPT, a hot topic, to discuss the challenge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education and corporate services in the context of digital transformation.
On May 15, we will host a joint academic conference of the five major academic societies in Korea,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rean Economic Association,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and Kore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and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to present the direction in which our country should go under the theme of "Challenges and Prospects of Korean Society in 2023" by the scholars of the five academic societies.
The annual KASBA conference will be held in Busan on August 16-18, 2023, under the theme of "Korea Glocal Grand Innovation," proposing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ecosystem for glocal innovation. On the first day, we will propose the role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rebuilding local strategic industries, focusing on the New Industry Innovation EXPO led by Busan. On the second day, we will organize the Global Academic EXPO, inviting Joel Podolny, the former dean of Apple University, to speak on education innovation and university management based on corporate demand, discussing with global scholars. On the third day, the New Entrepreneurship EXPO will be held, featuring exhibitions and presentations by companies, including the Korean major conglomerates, and the participation of young students. We will prepare The annual KASBA conference on Busan to be more fruitful in the post-coronavirus era, so that all members can participate together.
The most important thing I need to do to make all of this possible is to obtain the cooperation and help of management scholars and executives who are members of the KASBA. Please remember that the members are the owners of the KASBA, and I will do my best to make the academy tp provide practical help to the members. I ask for your wisdom and capacity to be gathered. We will do our best to lead the transformation that builds the Korean glocal new industry innovation ecosystem.
Thank you very much.
JAE-GU KIM,
The 68th President of KASBA
- 인사말
- 학회장 이력

김 재 구
학 력 / 병 역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 (1995)
•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1988)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졸업 (1986)
• 대한민국 육군 소위 (석사장교) 전역 (1989. 2.)
주 요 경 력
• (현) 명지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현)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 지방시대자문위원장, 부산엑스포유치지원특별위원
•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위 위원
• 공공기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원장
• Social Enterprise World Forum, Board member
• Stanford University 초빙연구위원
•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학 회 활 동
• 한국경영학회 (현)회장, 부회장, 이사, 학회이사, 어워드선정위원회 위원(2020), 하계융합학술대회 조직위원(2019)
• 한국인사조직학회 회장, 30주년기념준비위원장, 부회장, 학술위원장, 사회적가치창출특별위원장, 국제교류위원장, 편집위원, 상임이사, 이사 등
• 한국생산성학회 회장, 부회장, 상임이사
• 한국기업경영학회 회장, 부회장, 상임이사
• 사회적기업학회 부회장
•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부회장, 상임이사
• 기업가정신학회 아너스 펠로우, 부회장
연 구 활 동
• 국내외 30여 편 학술논문 게재, 국내외 학술발표 40여 회 『한국의 노동』, 2007(공저, 전국경제인연합회 시장경제대상 수상) 등 저서 18편
• 대표 저서 : 『K-Management 4.0 : 기업의 미래를 여는 사회가치경영』, 한국인사조직학회 기획, 클라우드나인, 2018(공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가치경영 실천전략』, 클라우드나인, 2020(공저) 등 2권의 책임저자
• 연구과제 : Stanford Project on Broadband Internet, 한국연구재단, 다수 정책과 기업과제 수행
사 회 활 동
• 삼성그룹, 현대자동차, SK그룹, POSCO, 하나은행,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금융산업공익재단,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자문 및 교육; 자동차산업연구회 창립회장
• 대통령직속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행정개혁전문위원(산업-중소기업정부조직, 과학기술정부조직), 기획예산처 기금관리운영평가단, 대통령실 서민정책자문위원, 고용노동부 정책자문위원 , 기획재정부 사회적경제평가위원 등
• 기독경영연구원 부원장, 청년창업스쿨 ChEMBA 등 12년간 창업프로그램으로 와디즈, 지속가능연구소, 소셜벤처 공생 등 다수 기업 창업 및 투자 유치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