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세션명 : Post-Corona 시대의 기술혁신과 일터혁신, 그리고 인간 노동의 미래
조직위원장: 노용진 일터혁신과 기업경쟁력 심포지엄 조직위원장(서울과기대)
일시 및 장소 : 8월 19일(수) 13:30~15:15 / 113호
<특별세션 구성의 배경>
ㅇ 빅데이터-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초고속 인터넷, 센싱기술 등 정보통신지능기술의 발전과 산업적 활용의 확산으로 산업사회의 대변화를 예고하고 있음.
ㅇ 정보통신지능기술의 발전은 산업사회에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임에도 불구하고 고용 감소나 근로자들의 직무내용 단순화 등 인간의 노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들이 제기되고 있음.
ㅇ 반대로, 최근의 타다 사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근로자들의 저항에 직면하게 되면, 정보통신지능기술의 산업적 활용이 억제될 수 있음.
ㅇ 이런 점에서 정보통신지능기술의 효과적 활용과 그것이 인간 노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연구될 필요가 제기되고 있음.
ㅇ 다행스럽게도 기존 연구들은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노동에 미치는 영향이 사용자와 근로자간 관계의 성격과 근로자들의 숙련 수준 등 작업조직의 사회적 측면에 의해서 조절됨을 시사하고 있음.
ㅇ 신기술의 발전에 대응해서 작업과정에서 인간 노동의 역할을 확대하는 방안 중 하나로서 일터혁신이 주목을 받고 있음.
ㅇ 이상의 문제의식에서 기술혁신과 일터혁신, 인간 노동 등의 상호 관계 등을 논의하는 일터혁신 특별세션을 구성하고자 함.
<특별세션에서 예상되는 주요 발표 논문들>
ㅇ 작업조직의 사회적 관계의 맥락 속에서 정보통신지능기술의 효과적인 활용에 관한 분석.
ㅇ 노사관계의 특성이 정보통신지능기술의 효과적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ㅇ 정보통신지능기술 기반의 기술혁신과 일터혁신의 통합적 접근 방법에 관한 분석.
ㅇ 제조업에서 정보지능기술의(가령, 스마트공장)의 발전에 따른 직무내용과 숙련요건, 근로조건 등의 변화, 그에 대한 일터혁신의 조절효과에 관한 분석.
ㅇ 서비스업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일자리와 직무내용, 근로조건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분석.
ㅇ 정보통신지능기술의 발전이 근로자들의 직무태도와 조직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ㅇ 정보통신지능기술의 발전이 사람의 관리방식이나 통제방식에 미치는 영향.